목록전체 글 (158)
HYEWON JUNG의 개발일지

문제설명 머쓱이는 40살인 선생님이 몇 년도에 태어났는지 궁금해졌습니다. 나이 age가 주어질 때, 2022년을 기준 출생 연도를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 제한사항 0

문제설명 정수 num1, num2가 매개변수 주어집니다. num1과 num2를 곱한 값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 제한사항 0 ≤ num1 ≤ 100 0 ≤ num2 ≤ 100 입력 내코드 function solution(num1, num2) { return num1*num2; }

문제설명 정수 num1, num2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num1을 num2로 나눈 몫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 제한사항 0

문제설명 정수 num1, num2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num1를 num2로 나눈 나머지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 제한사항 0
문제설명 숫자로 이루어진 문자열 t와 p가 주어질 때, t에서 p와 길이가 같은 부분문자열 중에서, 이 부분문자열이 나타내는 수가 p가 나타내는 수보다 작거나 같은 것이 나오는 횟수를 return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. 예를 들어, t="3141592"이고 p="271" 인 경우, t의 길이가 3인 부분 문자열은 314, 141, 415, 159, 592입니다. 이 문자열이 나타내는 수 중 271보다 작거나 같은 수는 141, 159 2개 입니다. 제한사항 1 ≤ p의 길이 ≤ 18 p의 길이 ≤ t의 길이 ≤ 10,000 t와 p는 숫자로만 이루어진 문자열이며, 0으로 시작하지 않습니다. 입력 t p "3141592" "271" 출력 2 내코드 function solution(t, p)..

문제 설명 이 문제에는 표준 입력으로 두 개의 정수 n과 m이 주어집니다. 별(*) 문자를 이용해 가로의 길이가 n, 세로의 길이가 m인 직사각형 형태를 출력해보세요. 제한 조건 n과 m은 각각 1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. 입력 5 3 출력 ***** ***** ***** 내코드1 process.stdin.setEncoding('utf8'); process.stdin.on('data', data => { const n = data.split(" "); const a = Number(n[0]), b = Number(n[1]); for(let i = 0 ; i { const n = data.split(" "); const a = Number(n[0]), b = Number(n[1]); const num =..